재산세는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납부해야 하는 지방세입니다. 하지만 막상 납부 시기가 다가오면 재산세 계산 방법, 고지서 확인, 과세표준과 부과기준, 납부기간, 그리고 최근 많이들 궁금해하는 재산세 카드혜택까지 챙겨야 할 정보가 많습니다.
특히 재산세는 상속받은 경우와 내가 직접 취득한 경우에 따라 달라지는 점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두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재산세와 관련된 핵심 내용을 한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재산세 카드혜택
많은 분들이 재산세 납부 시 신용카드 납부 혜택을 궁금해하십니다.
- 재산세는 신용카드, 체크카드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일부 카드사는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카드사별로 포인트 적립이나 할인 혜택이 붙는 경우도 있습니다.
- 다만 카드로 납부할 경우, 일부 수수료(약 0.8~1.0%)가 발생할 수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 따라서 무이자 할부나 적립 혜택이 큰 카드로 납부하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재산세 계산 방법
재산세는 단순히 “집값”으로만 계산되지 않습니다.
- 과세표준 =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주택의 경우 공정시장가액비율은 60%
- 재산세 = 과세표준 × 세율(0.1%~0.4%)
예를 들어, 공시가격이 3억 원인 주택이라면
👉 과세표준 = 3억 × 60% = 1억 8천만 원
👉 재산세 = 1억 8천만 원 × 0.1% = 18만 원
재산세 고지서 확인 방법
재산세는 매년 7월과 9월에 고지서가 발송됩니다.
- 7월: 주택분 1/2, 건축물·선박·항공기
- 9월: 주택분 나머지 1/2
고지서를 분실했거나 못 받았을 경우에는
- 위택스(wetax.go.kr)
- 인터넷지로(giro.or.kr)
-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앱
을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재산세 과세표준 및 부과기준
- 재산세 부과기준일은 매년 6월 1일입니다.
- 따라서 6월 1일 현재 부동산 소유자가 납세의무자가 됩니다.
- 즉, 6월 2일에 집을 팔았다면 그해 재산세는 매도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재산세 납부 방식
- 오프라인: 은행 창구, ATM, CD기기, ARS
- 온라인: 위택스, 인터넷지로, 간편 결제(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등)
- 자동이체 신청 가능 (매년 지정 계좌에서 자동 납부)
👉 카드 납부를 고려한다면 위택스나 인터넷지로를 통한 온라인 납부가 가장 편리합니다.
재산세 조회 방법
- 위택스 로그인 후 ‘재산세 조회·납부’ 메뉴 이용
- 인터넷지로 접속 후 주민번호/공인인증을 통해 조회
- 지방세입계좌 제도를 활용해 무통장 송금도 가능
재산세 납부기간
- 7월 16일 ~ 7월 31일
- 9월 16일 ~ 9월 30일
👉 기한을 넘기면 가산금 3%가 붙고, 이후 매월 0.75%씩 추가됩니다. 반드시 기한 내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속받았을 때 vs 내가 취득했을 때
📌 상속받은 경우
- 상속개시일(사망일)을 기준으로 납세의무가 승계됩니다.
- 상속인이 여러 명일 경우, 공동으로 납부 책임이 있습니다.
📌 내가 직접 취득한 경우
- 매매, 증여 등으로 취득 시, 등기 접수일 기준으로 소유자가 됩니다.
- 하지만 재산세는 6월 1일 기준으로 부과되므로, 이 날짜를 기준으로 납세자가 결정됩니다.
👉 즉, 상속은 공동의무, 취득은 6월 1일 기준 단독의무로 이해하면 됩니다.
꼭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
- 재산세 부과 기준일 = 매년 6월 1일
- 납부기간 = 7월, 9월 각 15일간
- 카드 납부 시 무이자 할부 & 포인트 적립 가능
- 상속 시 공동 납세 의무 발생
- 기한을 넘기면 가산금 3% + 매월 0.75% 추가
📌 자주 묻는 질문
Q1. 재산세는 1년에 몇 번 내나요?
👉 2번(7월, 9월) 납부합니다.
Q2. 재산세 고지서를 못 받았는데 어떻게 하나요?
👉 위택스, 인터넷지로,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3. 재산세를 카드로 내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 무이자 할부와 포인트 적립 혜택이 있습니다. 단, 일부 수수료가 붙을 수 있습니다.
Q4. 부모님 집을 상속받으면 재산세는 누가 내나요?
👉 상속인이 공동으로 납부해야 합니다. 대표 상속인이 대신 납부 가능하지만 책임은 공동으로 집니다.
Q5. 집을 6월 2일에 팔았는데, 재산세는 누가 내나요?
👉 6월 1일 기준 매도인이 납부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