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추석 연휴 근무하면 얼마 받나요? 2025 알바·정직원 수당 총정리!

by 대빵빵 2025. 9. 25.
반응형

 

추석 연휴 동안 일했는데 수당이 없다고요?
👉 정직원도, 아르바이트생도 놓치기 쉬운 추석 수당의 진실!
근무했으면 제대로 받아야죠.
지금 바로 수당 계산법 확인하고, 억울함 없이 챙기세요!

추석 연휴 근무하면 얼마 받나요? 2025 알바·정직원 수당 총정리!
추석 연휴 근무하면 얼마 받나요? 2025 알바·정직원 수당 총정리!(미리캔버스AI)

 

✅ 추석 연휴, 무조건 유급일까?

추석은 법정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어 원칙적으로 유급휴일입니다.
하지만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 유급휴일 적용 대상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
  • 상시 5인 이상 근무하는 사업장
  • 근로계약서에 유급휴일 규정이 있는 경우 (5인 미만이라도)

🔎 근거: 근로기준법 제55조, 제18조 제3항

📊 정직원 vs 알바생, 추석 수당 이렇게 다릅니다!

구분 조건 수당 지급 여부

정직원 주5일 근무, 주 15시간 이상 유급휴일 적용, 근무 시 수당 150% 이상
알바생 주15시간 미만 근무 무급 가능, 단 근무 시 연장수당 50% 지급
계약직/파트 계약서에 유급휴일 명시 여부 확인 필요 명시돼 있으면 유급 가능

나의 추석 수당은 얼마? 계산기 바로가기

 

💡 : 시급제로 근무해도 1주 15시간 이상이면 공휴일은 유급처리 대상입니다!

🧮 추석 연휴 수당 계산법 (2025년 기준 시급 11,779원)

📌 근무 조건별 계산

  1. 공휴일에 근무하지 않은 경우
    • 유급휴일이므로 별도 수당 없이 정상 월급 지급
  2. 공휴일에 8시간 이하 근무한 경우
    • 기본급(100%) + 휴일근로수당(50%) = 총 150% 지급
  3. 공휴일에 8시간 초과 근무한 경우
    • 초과시간에 대해 200% 지급 (100% 기본 + 100% 가산)

💰 예시 계산

알바생 A가 추석 당일 8시간 근무했다면?
11,779원 8시간 1.5배 = 141,348원

정직원 B가 3일 연속 추석 연휴 전부 근무
3일 8시간 1.5배 + 주휴수당 포함 약 450,000원 이상 지급 가능

참고: 유급휴일 수당은 이미 월급에 포함된 경우 별도 지급 없음 (월급제 정직원)

❗ 5인 미만 사업장, 수당 줘야 하나요?

  • 근로기준법은 5인 이상 사업장에만 적용됩니다.
  • 5인 미만은 공휴일 유급휴일이나 주휴수당도 법적 의무는 없지만,
    근로계약서에 명시되어 있다면 지급 의무 발생합니다.

📌 사업장 규모가 작아도 계약서에 유급휴일이라 쓰여 있으면 꼭 지급해야 합니다!

 

샌드위치 연휴, 연차 사용할 수 있을까?

샌드위치 연휴(예: 추석 금요일, 월요일 휴무 시 중간 평일)에 연차 사용은 가능하지만,
사용 강제는 불가합니다.

📘 근로기준법 제62조에 따라 사전 합의된 경우에만 가능

🔔 연차 사용 시 해당일은 유급 처리, 수당과 별도로 급여에 포함됩니다.

 휴일 대체 / 보상휴가 제도도 가능?

  • 휴일대체제도: 공휴일 전에 다른 근무일과 교체가능 (근로자 대표와 서면 합의 필수)
  • 보상휴가제도: 연장근로 수당을 유급휴가로 대체 가능 (단, 사전 합의 필요)

📌연휴 근무 후 돈 대신 평일 하루 쉬는 건 보상휴가, 합의가 없으면 적용 안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추석 연휴 근무 안 했는데 월급 나와요?
A1.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정규직/알바라면 유급입니다.

Q2. 추석 때 하루 근무하면 추가 수당은?
A2. 1일 근무 시 기본급 + 50% 가산 수당 지급 대상입니다.

Q3. 사장님이 무급이라는데요?
A3. 주15시간 이상이면 법적 유급 대상입니다. 무급이면 위법 소지 있습니다.

마무리

✔ 정직원/알바 모두 주 15시간 이상이면 유급휴일 수당 가능
✔ 5인 미만도 계약서에 따라 유급 처리 가능
✔ 추석 근무 시 시급의 최대 150~200%까지 수당 받을 수 있음
✔ 연차 사용과 휴일대체는 사전 합의 필수

🔗 참고 출처

  • 고용노동부 공식자료 (www.moel.go.kr)
  • 근로기준법 제55조, 제56조, 제18조
  • 근로계약서/취업규칙 참조
  • 행정해석 사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