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6 청년인턴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 병가 있어도 괜찮습니다 “청년인턴도 실업급여받을 수 있을까?”근무는 했지만 병가가 있었고, 주말 빼면 180일이 안 되는 것 같고,정규직은 아니니 안 되는 거 아닐까 고민하셨다면 지금 정확히 알고 가셔야 합니다.실업급여는 조건만 충족되면 청년인턴도 충분히 수급 가능합니다.특히 다음 검색에서 자주 등장하는 ‘180일 기준’, ‘고용보험 가입 여부’, ‘계약 종료 후 신청 절차’까지모두 이 글 하나로 정리해드릴게요.청년인턴 실업급여, 받을 수 있는 조건은 이겁니다조건 항목 내용📌 고용보험 피보험 단위기간180일 이상 가입📌 이직 사유계약 만료 또는 비자발적 퇴사📌 구직 의사워크넷 구직등록 및 구직활동 의지많은 분들이 ‘일한 날을 세서 180일’로 오해합니다.하지만 실업급여의 핵심은 ‘고용보험 자격이 유지된 날’, 즉 보험가입.. 2025. 11. 3. 퇴직공제금 누락되면 퇴직금 못 받습니다. 지금 적립일수부터 확인하세요 건설업에서 일하는 근로자라면 반드시 챙겨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퇴직공제금 적립일수’입니다.“나는 일했는데 왜 적립이 안 됐지?” 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이 글에서는 퇴직공제금 적립 기준부터 내역 확인, 누락 대처까지 하나씩 정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Q1. 퇴직공제금 적립 기준, 어떻게 산정되나요?A. 퇴직공제금은 근로일수에 따라 적립되며, 핵심은 21일 = 1개월로 보는 산정 방식입니다.즉, 한 달에 21일 이상 일해야 '1개월'로 인정되고, 그에 따라 퇴직공제금이 적립됩니다.예를 들어, 10일 일했다면 0.5개월로 계산됩니다.이 기준은 사업주가 공제회에 신고한 일수를 기준으로 계산되며, 신고 누락이 발생하면 실제보다 적게 산정됩니다.👉 정리: 실제 일한 일수 ≠ 적립된 일수일 수 있음.. 2025. 10. 23. 퇴직 후 실업급여, 자격과 신청 절차 제대로 알고 챙기세요 갑작스레 퇴사하고 막막한 상황에서 실업급여가 있다는 걸 알았어요. 처음엔 자격도 복잡하고 어떻게 신청하는지 몰라서 헤맸는데, 정리해 보니 그렇게 어렵지 않더라고요. 저처럼 실수 없이 받고 싶은 분들을 위해, 제가 직접 준비했던 내용 그대로 정리해 봤습니다.실업급여는 ‘자격’이 있어야 받을 수 있습니다실업급여는 아무나 주는 제도가 아닙니다.가장 중요한 건 ‘비자발적 퇴사’ 일 것.즉, 본인이 원해서 그만둔 게 아니라면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생깁니다.그리고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180일(6개월) 이상이어야 하며,퇴직 후 즉시 구직 활동이 가능한 상태여야 합니다.✔ 계약 만료✔ 권고사직✔ 부당해고이런 퇴사 사유가 있으면 실업급여 자격에 해당됩니다.자발적으로 퇴사했다 해도, 예외적으로 인정되는 ‘정당한 사유’가.. 2025. 10. 22. 퇴직금 계산 기준, 실수령액 차이 나는 이유까지 한 번에 정리! 퇴직금 계산, 생각보다 쉽지 않더라고요. 1년 넘게 다닌 회사에서 퇴직하려다 보니 실수령액 기준인지, 평균임금 기준인지 헷갈렸어요. 계산기 돌려보니 제가 받는 줄 알았던 금액이랑 너무 달라서 놀랐고요. 연차수당이 따로 나오는지도 처음 알았어요. 비슷한 고민 중이라면 제 경험 정리해 둔 이 글이 꽤 도움 될 거예요. 직접 겪고 정리한 내용이라 놓치면 손해입니다. Q1. 퇴직금 계산, 왜 ‘실수령액’이랑 차이가 나나요?A. 퇴직금은 세후 실수령액 기준이 아니라, ‘평균임금(세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퇴직금 계산할 때 ‘세후 실수령액’을 기준으로 계산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하지만 이는 잘못된 접근입니다.퇴직금은 아래 공식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평균임금 × 30일 × 총 근속연수여기서 ‘평균임금’은 퇴.. 2025. 10. 22. 이전 1 2 3 4 ··· 59 다음